센터소개
공지사항

[수익사업]종합적해충방제(IPM)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11-17 16:14 조회461회 댓글0건

본문


해충과 유해생물을 방제하는 방법에는

물리적 방제(Physical or mechanical control) : 환경관리법, 트랩이용법, 온도처리법, 방사선처리법
생물학적 방제(Biological control) : 불임웅충방산법, 천적이용법, 병원성미생물이용법
화학적 방제(Chemical control) : 살충제이용법, 호르몬이용법, 성페로몬이용법

그리고 위 방법중 두가지 이상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종합적해충관리 (Intergrated pest management IPM방법이 있습니다.

처음 미국의 농업분야에서 시작된 IPM은 무분별한 농약사용으로 인하여 토양과 농산물에 축적된 잔류농약이
인체의 건강에 주는 악영향을 막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농업분야에서 실용성이 확인되어 1980년대 후반에는 도시의 해충관리에도 파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학적방제의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현실이나 IPM의 최종 목표인

1) 살충제,살균제 등 화학물질의 인체폭로량 감소
2) 살충제에 의한 환경 피해 감소
3) 해충방제 비용 절감

을 위하여 화학적방제의 의존도를 낮추려고 노력하는 추세입니다.

IPM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전준비
2) 작업계획의 수립
3) 서식조사 실시 - 통상 6개월 이내에 1회
4) 조사결과의 분석 - 허용수준의 달성, 미 달성 파악
5) 필요한 조치를 실시 - 사람과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가능한 적게 하기 위하여 유효 적절한 방제법을 선택
                                    1차. 발생원 대책, 침입장지 대책
                                    2차. 유효하고 적절한 방법을 조합한 방제 
6) 평가(효과 판정) - 허용수준의 달성, 미달성 파악
7) 원인조사 및 재조치

IPM을 적용한 방제를 실시했을 때 고객의 입장에서 얻는 유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사를 근거로 하는 환경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다.
2) 근거 자료를 기초로 한 구조,설비,위생관리 면에서의 개선으로 초기 경비가 증가해도 서서히 방제 횟수가 감소하여
    장기적인 방제 비용이 감소한다.
3) 어느 정도의 해충서식 상황이 숫자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제 의사결정이 합리적이다.
4) '환경 좋은 건물'의 이미지를 이용자와 세입자에게 PR할 수 있다.
5) 일반적으로 살충제의 사용이 줄어들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6) 지속적인 방제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 참고자료:네이버 지식백과 종합적 병충해관리 (naver.com)

ba8c025ad15f1ce8b8fbef2c1e96e1b8_1668666024_4261.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